주식 투자

최근 유가의 행방 과연 어디로?(사우디아라비아 증산 VS 이스라엘과 이란)

specify 2024. 10. 5. 09:22
728x90
반응형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증산 예고 => 유가 하락]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731281

 

사우디 "오일패권 되찾겠다"…12월 본격 증산 예고

사우디 "오일패권 되찾겠다"…12월 본격 증산 예고, 사우디發 '산유량 치킨게임'…유가 급락 非OPEC 국가에 점유율 뺏기자 "연말부터 증산"…WTI 3% '뚝'

www.hankyung.com

  • 사우디 증산 계획: 2024년 12월부터 사우디는 매달 8만3천 배럴씩, 연간 100만 배럴 증산 계획.
  • 시장 점유율 회복: 비OPEC 국가들에 시장 점유율을 뺏기자 저유가를 감수하고 증산 결단.
  • 유가 급락 전망: 사우디 증산 소식에 WTI와 브렌트유 가격이 각각 2.9%, 2.53% 하락.
  • OPEC 내 경쟁 심화: OPEC 회원국 간 ‘치킨 게임’ 우려, 일부 국가들의 감산 위반 및 내부 분열.
  • 사우디 전략 전환: 100달러 유가 목표 포기, 저유가 시대 수용하며 외환보유액과 국채 발행으로 자금 조달.

사우디 증산 계획에 따라 유가는 하락할 것으로 보였으나, 단기적으로 상반되는 뉴스가 아래와 같이 등장

[이란 VS 이스라엘  => 유가 상승]

https://www.yna.co.kr/view/AKR20241002007100009

 

[뉴욕유가] 이란, 결국 이스라엘 포격…장중 5% 넘게 폭등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유가가 이란과 이스라엘 간 군사적 충돌로 한때 5% 넘게 폭등했다.

www.yna.co.kr

  • 이란-이스라엘 충돌로 유가 급등: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약 180발의 미사일을 발사하며 뉴욕유가가 5% 이상 급등함.
  • WTI와 브렌트유 가격 상승: WTI는 2.44% 상승한 배럴당 69.83달러, 브렌트유는 2.59% 상승한 73.56달러로 마감.
  • 전면전 우려 확산: 이란의 보복 공격과 이스라엘의 강력한 대응 가능성으로 인해 중동 전면전 우려가 커지며 위험 회피 심리 증가.
  • 유가 변동성 확대: 이란의 원유 공급 중단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유가 변동성이 크게 확대.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61118.html

 

이란 ‘호르무즈 해협 봉쇄’하면 최악…유가 101달러 급등

10월1일 이란의 탄도미사일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이 이란에 보복 공격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말 한마디가 3일(현지 시각) 국제유가를 5% 가량 끌어올렸다. 바이든 대

www.hani.co.kr

  •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 유가 급등 우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면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1달러 이상으로 급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옴.
  • 유가 200달러 가능성 제기: 이란의 석유 인프라가 파괴될 경우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있음.
  • 바이든 발언으로 유가 상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이란-이스라엘 긴장을 고조시켜 국제 유가가 5% 이상 상승함.
  • 시장 반응은 차분: 중동의 긴장에도 불구하고 원유 시장은 실제 공급 차질의 증거를 기다리며 비교적 차분한 반응을 보임.
  • 공급 과잉 및 수요 감소 요인: 미국의 셰일 혁명으로 인한 공급 과잉, 중국 경제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 사우디의 증산 계획 등이 유가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
  • OPEC+ 내분과 사우디 증산 추진: OPEC+ 내에서의 내분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증산 움직임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호르무즈 해협의 중요성: 전 세계 원유 공급량의 약 20%가 통과하는 핵심 해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간주됨.

[관심 가져야할 ETF - 에너지 및 유틸리티 섹터]

근래 유가하락을 우려해 저조했던 ETF 섹터 중 하나였던 에너지 섹터 - 반등시작

가스, 수도, 전력 등 산업과 생활 기반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ETF 넥스트에라 에너지, 서던, 듀크 에너지 등 미국 대표 산업재 종목들을 포함

유틸리티는 그 동안 많이 올랐으나, 여전히 괜찮을 것으로 생각

유가 견인 - 에너지 / AI 견인 - 유틸리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