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

한 번에 끝내는 Financial Modeling 실무 초격차 패키지 Online. #1. Financial modeling 기초 (패스트캠퍼스 강의)

728x90
반응형

Financial modeling skill을 우대사항으로 내건 회사 및 직무들이 많아서 공부해 보기로 다짐했다.

개념들을 잘 Tistory에 정리해보면서 공부해 봐야지.

재무제표 계정 흐름

경영학과 출신이라면 너무나도 익숙한 화면.
다만 실무에서 안 쓰면 매번 까먹는 화면이다.

회사가 벌어들인 손익은 당기순이익으로 회사의 자본의 증감 및 감소로 이어진다.
차변 및 대변에 적힌 항목들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아래에는 예시들이다.

(차) 현금 및 현금성자산 100 / (대) 자본금 50 자본잉여금 50 - 유상증자
(차) 대손상각비 100 / (대) 대손충당금 100 - 비용 / 부채 증가
(차) 임차료 100 / (대) 현금성 및 현금성자산 100 - 임차료를 현금으로 지불 

재무제표 -> 인식 -> 측정

회사는 파산하지 않고 쭉 온전하게 일을 할 것이라는 계속기업 가정을 토대로 인식과 측정을 거친다.

 

자본과 부채를 통해 조달된 자금(현금)은 자산 취득 또는 비용으로 처리됨.
ex) 차) 기계장치 xxx / 대) 현금 XXXX -> 자산 취득
임차료 xxx / 대) 현금 xxx -> 당기 비용처리

자산은 현금으로 처리되거나 비용으로 처리(상각) 되어 없어짐. 결국 실제 찐으로 돌아오는 자산의 구성을 볼 필요가 있고, 총자산에서 현금성 자산이 얼마인지, 시계열적으로 안정성을 띄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 

손익계산서 흐름

[손익계산서]

회계처리는 인식조건에만 충족되면, 현금상의 수수여부와는 상관없음 
이에 따라 손익계산서 상에는 이익이 기록되어도 현금이 돌지 않아 도산하는 경우가 있음 -> 흑자 도산 
이에 따라 현금흐름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

현금흐름표

매출채권 100이 발생했을 때, 당기순이익에서 자산 100만큼 증가했으니깐, 당기순이익 100 - 매출채권 자산 부채 변동 100 = 0 실제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0이 나오게 되면서. 실제 현금의 흐름을 도출하게 됨

외워야하는 부분

자산 감소 / 부채 증가 = 현금 유입
자산의 증가 / 부채의 감소 = 현금 유출 
매입채무/ 미지급금 = 부채. +의 영업현금흐름 

줄 돈은 늦게 주면서 재고자산은 늘렸다로 해석

영업이익 / 영업현금흐름 > 1 이상 
발생주의 회계원칙에 따라 이익만 부풀린 회사의 경우 이 지표가 마이너스 혹은 낮은 수치를 기록 

결국 손익계산서 -> 당기순이익 -> 재무상태표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현금 흐름표로 엮여있다.

현금 전환 일수 = 재고자산 + 매출채권 - 매입채무 
애플과 같은 경우는 마이너스가 나타나기도 함 
만드는 즉시 팔려나가고 판매 대금은 바로바로 받는 대신 원자재 구매대금은 한참 늦게 주는 경우. 그렇게 되면 운전자본이 돈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벌면서 운용 자금을 활용할 수 있는 자금 운용의 여유가 그만큼 많아진다. 줄돈은 늦게 받는 돈은 빠르게. 기업 입장에서는 아주 바람직한 현상

나름 전반적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쉬웠다. 깊이는 얕게 가져가긴 하나 이는 실무 excel 편에서 제대로 다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